질병정보

연하장애와 재활

페이지 정보

대우병원 작성일10-03-05 11:59 조회41,306회 댓글0건

본문

연하 장애와 재활

 

   재활의학과 김 애 영

 

1. 연하 (swallowing, deglutition) 란?

음식 물을 삼키는 동작을 가리키는 말로 외부에서 들어간 음식이 구강에서 인두와 식도를 거쳐 위장까지 이르는 일련의 생리적인 과정이며 정상의 경우 특별한 노력 없이 쉽게 이루어지는 것 같으나 실제로 30여가지의 신경과 근육이 관여하는 정교한 과정이다. 보통 음식을 먹을 때 1분에 9회의 연하가 있고 식사중 한시간 동안에는 약 300회가 일어나며 평균적으로 하루에 약 2,400회를 경험한다고 한다.

 

2. 연하 장애 (dysphagia) 란?

연하 운동을 구강 단계, 인두 단계, 식도 단계의 3단계로 나누며 이중 구강 단계는 수의적 조절이 가능하나 인두 단계와 식도 단계는 불수의적 반사 작용으로 일어나는데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 중에 이상이 생겨 음식 섭취에 어려움을 겪는 것을 말한다.

 

3. 연하 장애의 영향

가장 큰 문제점은 고령자나 뇌졸중 환자의 흔한 사망 원인 중 하나인 흡인성 폐렴의 유발이며 그 외 영양 결핍, 탈수, 체중 감소, 기도 폐색, 먹는 즐거움의 상실로 인한 삶의 질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4. 연하 장애의 원인

연하 작용에 관여하는 신경이나 근육의 이상으로 인한 기능성 장애와 연하가 일어나는 해부학적 구조 부위에 이상이 있는 기질적 장애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령자, 만성질환자, 장기 요양 환자, 뇌졸중 환자, 두경부암 환자, 치매, 파킨슨씨병 등의 진행성 신경계 질환자가 고위험군에 해당된다.

 

5. 연하 장애의 진단 

우선 병력이 제일 중요하다. 어떤 기저 질환이 있는지, 사레 들거나 기침과 같이 연하 장애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이 있는지, 특히 뇌졸중이나 폐렴의 기왕력이 있는지 등을 확인해야 하며 설문지 등을 이용한 문진을 통하여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얻기도 한다. 이학적 검사로 신경학적 평가를 포함한 신체 상태를 파악하고 음식 먹는 모습을 직접 관찰하여 진단에 도움을 받는다. 기구를 이용한 정밀 검사로는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VFS)와 연하 내시경 검사(FEES)가 대표적이며 연하 관련 구조의 움직임 이상 유무, 삼킨 음식 덩어리의 움직임 등을 관찰한다. 비디오 투시 연하 검사는 진단 뿐 아니라 치료적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6. 연하 장애의 치료

환자 의 상태가 정확히 파악되면 치료에 들어가게 되는데 흡인성 폐렴을 예방하고 적절한 영양과 수분을 공급하며 음식 맛을 보는 것이 가능하게 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최종 치료 목표가 된다. 이때 재활의학과 전문의를 비롯하여 작업치료사, 언어치료사, 물리치료사, 간호사, 영양사, 가족 등을 포함한 팀 접근 방식이 필요하고 일반적인 재활 치료 원칙이 똑같이 적용된다. 즉, 자연적 회복을 증진시키는데 초점을 맞추고 가능하면 빨리 치료를 시작하며 자주 지속적으로 받도록 하고 반복 훈련을 열심히 하며 기능 회복을 방해할 수 있는 약물은 피하는 것 등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구강 감각 자극 치료, 식이 변형, 자세 조절, 연하 구강 운동, 연하 기법 훈련 등이 있다. 구강 감각 자극 치료는 화학적 자극이나 물리적 자극 또는 온냉 자극을 주어 구강 인두 연하를 향상시켜 준다. 식이 변형은 섭취하는 음식 덩어리의 크기, 점도, 온도, 맛, 재질 등을 변화시켜 좀 더 잘 삼킬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연하 장애식은 적당한 점도, 흩어지지 않고 덩어리지기 위한 응집력, 입안이나 목에 달라붙지 않고 적당하게 잘 넘어갈 수 있는 낮은 부착성같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자세 조절은 자세를 변화시켜 연하 동작을 돕는 방법으로 턱 당기기, 머리 돌리기, 머리 기울이기, 머리 들기, 바로 눕기 등이 있다. 연하 구강 운동은 연하 동작시 관여하는 근육의 운동 범위와 근력을 증진시켜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준다. 연하 기법 훈련은 좀 더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삼키기 위한 방법을 훈련하는 것으로 상부 성문 연하법이 가장 많이 사용 되고 있다. 그 외 적응증에 따라 보톡스 주사, 전기 자극 치료, 뇌자극 치료, 수술적 요법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시행되고 있다.